"강아지 기생충 질병 종류 및 예방 방법"
작성자 정보
- 셔틀 작성
- 작성일
본문
강아지에게 발생할 수 있는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는 질병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, 각 기생충이 어떻게 작용하는지와 그로 인한 증상, 치료 방법 등을 좀 더 세밀하게 설명드리겠습니다.
1. 내장 기생충 질병
a. 회충 (Roundworm)
- 병원성 및 기생 메커니즘:
- 회충은 Toxocara 종에 속하는 기생충으로, 강아지의 장에서 자주 발견됩니다. 성체 회충은 길이가 최대 30cm까지 자랄 수 있으며, 이들은 장에 서식하며 영양분을 흡수합니다.
- 감염된 강아지가 회충의 알을 섭취하면, 장에서 기생충이 성체로 자라며 번식합니다.
- 강아지가 감염된 어미 개의 모유를 통해 회충을 옮길 수도 있습니다.
- 증상:
- 구토, 설사, 체중 감소, 복부 팽만 등이 나타납니다. 심할 경우 구토물에서 회충이 보일 수도 있습니다.
- 심한 경우: 성장 지연, 기운 없음, 체온 상승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
- 치료:
- 일반적으로 구충제를 통해 치료합니다. 대부분의 경우 단기간 내에 회충을 제거할 수 있습니다.
b. 편충 (Hookworm)
- 병원성 및 기생 메커니즘:
- 편충은 Ancylostoma 또는 Uncinaria 종으로, 강아지의 장에 기생하여 장의 벽을 뚫고 혈액을 빨아먹습니다.
- 감염은 감염된 토양을 섭취하거나, 오염된 물과 음식을 통해 전파될 수 있습니다.
- 모유를 통한 수직 감염도 가능합니다.
- 증상:
- 빈혈이 주요 증상으로 나타나며, 피로, 창백한 잇몸, 설사, 구토, 체중 감소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.
- 감염이 심할 경우 심각한 빈혈로 인해 강아지의 건강 상태가 급격히 악화될 수 있습니다.
- 치료:
- 구충제를 사용하여 편충을 제거할 수 있으며, 심한 빈혈이 동반된 경우 수혈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.
c. 촘촘이 (Tapeworm)
- 병원성 및 기생 메커니즘:
- 촘촘이는 Dipylidium caninum 또는 Taenia 종에 속하는 기생충으로, 강아지의 장에서 자주 발견됩니다. 장에서 성체로 자란 촘촘이는 길고 납작한 형태를 띱니다.
- 벼룩을 통해 전파되는 경우가 많으며, 강아지가 벼룩을 삼킬 때 감염될 수 있습니다.
- 증상:
- 항문 주위에서 움직이는 조각이 보일 수 있습니다. 또한, 가려움증과 체중 감소가 동반될 수 있습니다.
- 심한 경우 장 폐쇄, 배탈, 구토 등의 증상도 나타날 수 있습니다.
- 치료:
- 구충제로 치료할 수 있으며, 벼룩의 방제도 함께 해야 합니다.
d. 편모충 (Giardia)
- 병원성 및 기생 메커니즘:
- Giardia는 미세한 원생동물로, 강아지의 장에 기생합니다. 이 기생충은 오염된 물을 통해 감염되며, 강아지가 오염된 물을 마시거나 감염된 동물과 접촉할 때 전파됩니다.
- 증상:
- 설사, 구토, 체중 감소, 탈수, 복통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. 특히 만성 설사와 묽은 대변이 주요 증상입니다.
- 치료:
- 메트로니다졸 또는 파로메시드와 같은 약물이 치료에 사용됩니다. 오염된 물을 피하고, 위생적인 환경을 유지하는 것이 예방에 중요합니다.
2. 외부 기생충 질병
a. 벼룩 (Fleas)
- 병원성 및 기생 메커니즘:
- 벼룩은 강아지의 피부에 기생하여 피를 빨고, 벼룩 알레르기 피부염(FAD)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. 벼룩은 다양한 질병을 전파할 수 있습니다(예: 버벅병).
- 증상:
- 가려움증, 피부 발진, 피부 염증, 탈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 벼룩 배설물이 피부에 보일 수 있으며, 강아지가 과도하게 긁는 행동을 보입니다.
- 벼룩 알레르기 피부염이 있으면 심각한 염증과 함께 피부 감염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치료:
- 벼룩 약물(예: 프론트라인 또는 아이제스)과 샴푸, 피부 관리가 필요합니다. 집 안과 주변 환경도 철저히 청소하여 벼룩의 번식을 차단해야 합니다.
b. 진드기 (Ticks)
- 병원성 및 기생 메커니즘:
- 진드기는 강아지의 피부에 기생하며, 피를 빨면서 여러 가지 질병을 전파합니다. 진드기가 전파하는 질병으로는 라이메병, 큐벡병, 에르리히증 등이 있습니다.
- 증상:
- 진드기에 물린 부위에 염증이 생기고, 강아지가 발열, 무기력, 관절통, 식욕 부진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.
- 치료:
- 진드기 제거제와 항생제를 사용해 진드기가 전파한 감염을 치료합니다. 진드기 예방약도 정기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.
c. 귀진드기 (Ear Mites)
- 병원성 및 기생 메커니즘:
- 귀진드기는 귀 안에 기생하며, 주로 Otodectes cynotis라는 종입니다. 이들은 귀 속에서 피부를 자극하여 염증을 유발합니다.
- 증상:
- 강아지가 귀를 자주 긁고, 귀지가 과도하게 생성되며, 악취가 나는 경우가 많습니다. 귀 안이 붉거나 염증이 생기며, 심할 경우 귀 감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.
- 치료:
- 귀지 세척제와 귀 진드기 약물을 사용하여 치료합니다. 외부 환경을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예방에 중요합니다.
결론
강아지의 기생충 질병은 매우 다양하며, 각 기생충이 몸에 미치는 영향은 다릅니다. 정기적인 수의사 방문과 예방접종, 기생충 예방약 사용, 청결한 생활 환경 유지를 통해 기생충 감염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. 기생충 감염이 의심될 경우, 빠른 치료가 필요하며, 만약 치료가 늦어질 경우 건강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.
관련자료
-
이전
-
다음
댓글 0개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